5. 동맥질환
1) 말초동맥질환
(1) 원인
- 주요 원인 : 죽상경화증
- 죽상경화증의 원인은 정확히 모르나, 염증과 내피손상이 주된 요인, 콜레스테롤 침착
- 말초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인자 : 흡연, 만성 신질환, 고지혈증, 고혈압, 당뇨
(2) 병태생리
-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결국 조직은 죽게 된다.
(3) 증상과 징후
- 말초동맥질환의 전형적 증상 : 간헐성파행증
- 허혈성 통증은 혐기성 대사로 인한 젖산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됨
- 운동을 중단하면 젖산은 제거되고 통증은 가라앉음
- 말초동맥질환 대상자의 1/3 정도에서만 전형적인 간헐적인 파행증을 경험함, 나머지에서는 증상이 없거나 비전형적인 부위에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남.
<말초동맥질환과 정맥질환의 비교>
말초동맥질환 | 정맥질환 | |
말초맥박 | 감소 / 소실 | 존재, 부종으로 촉진이 어려울 수 있음 |
발목-상완지수 | 0.90이하 | 0.90초과 |
부종 | 하지부종 | |
통증 | 간헐성 파행증 (다리 내려야 완화) |
종아리나 허벅지 둔통 (다리 올려야 완화) |
피부염 | 흔함 | |
소양증 | 흔함 |
(4) 협동적 관리
<진단검사>
- 발목-상완지수 : 말초동맥질환의 선별검사도구
- 주의) 나이가 많은 환자와 당뇨병 환자인 경우 동맥이 석회화되고 압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과 달리 발목-상완지수가 상승됨
<위험인자 교정>
- 치료 목적 :모든 대상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를 감소시키는 것
-약물요법과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수정
- 금연, 당뇨병조절, 지질관리:statin(항지질제), 엽산유도체
- 고혈압 관리 : 140/90 미만으로 유지
<투약>
- 항혈소판치료 : 아스피린
- 항응고제 (와파린)은 투여하지 않는다.
- 간헐적 파행증 치료 : 실로스타졸(cilostazol),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혈관확장 증가, 금기: 심부전 대상자
- 펜톡시필린 : 혈소판 부착과 섬유소원의 농축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점성을 저하시킴
<운동요법>
- 운동은 30~45분/일, 적어도 3회/주, 최소 3개월 동안 진행
<식이요법>
- 체질량 지수 <25kg/m, 허리둘레 유지
<허혈을 동반한 하지의 간호>
- 중증 사지허혈 대상자의 최적의 치료 : 자가정맥을 이용한 우회술을 통해 혈관 재형성
-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경피적 혈관 내 성형술(PTA)
- 피부궤양이 있는 중증 하지 허혈 대상자에게는 전신 항생제를 사용
<카테터를 이용한 중재적 방사선 치료>
- 스텐트는 풍선혈관성형술에 삽입
<수술요법>
- 말초동맥 우회술(bypass) : 스텐트를 사용한 풍선혈관성형술은 우회술과 함께 사용
- 절단은 조직 괴사가 광범위할 경우 적용
▶ 수술 후 간호
- 너무 완전히 펴면 오금동맥의 수축으로 혈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무릎을 약간 굽힌 자연스러운 자세가 좋다.
- 이식술의 폐쇄는 수술 후 처음 24시간 이내에 흔하다.
- 통증 사정은 이식술이 잘못된 것을 조기에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.
- 구획증후군
: 근육은 근막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부종은 과다한 압력을 받게 되고,
그 결과 근육이 손상되고 영구적인 신경손상을 가져올 수 있음. 근막절개술은 완화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음
- 중대한 합병증
: 감염, 패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 때는 절단만이 유일한 치료방법
(5) 간호
① 적절한 조직 관류
② 통증 완화
③ 운동내성의 증가
④ 손상되지 않은, 말초의 건강한 피부
⑤ 치료계획과 질병에 대한 지식 증가
<간호수행>
▶ 급성기 중재
- 수술을 받은 하지의 색깔, 체온, 모세혈관 재충만, 말초맥박의 존재, 사지의 움직임과 감각을 매 15분마다 확인
- 수술 후 ABI측정은 이식 혈전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측정하지 않는다.
- 수술 후 위협적인 통증에 대한 관리 필요
-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것은 다리의 통증과 부종을 야기하므로 피한다.
- 탄력스타킹 - 합병증이 없으면 수술한 지 3~5일 후에 퇴원
▶ 외래 간호
- 금연, 고혈압, 당뇨병 관리
- 두꺼워진 발톱이나 굳은살은 잠재적인 심각한 문제를 야기함
2) 급성 동맥허혈장애
- 치료하지 않으면 조직의 괴사를 일으킴
(1) 원인
- 혈관의 외상, 혈전, 색전
(2) 병태생리
: 막힘
(3) 증상과 징후(6P)
① 통증
② 감각 이상
③ 냉감 : 차갑다
④ 마비
⑤ 창백
⑥ 맥박소실
(4) 협동적 관리
- 혈전이나 색전을 제거
- 섬유소 용해제
3) 폐색성 혈전혈관염 = 버거병
(1) 원인
- 상지나 하지의 동맥이나 정맥에 어떤 원인으로 혈전이 형성되고 비화농성인 동맥염과 정맥염을 형성하여 혈관을 폐색 시킴
- 신경의 말단부가 자극받아 심한 통증
-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흡연과 밀접한 관계
(2) 증상과 징후
- 간헐성파행증
- 안정 시 통증
- 감각 이상
- 허혈성 신경증
- 레이노 현상
- 괴사 되므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심한 경우 괴사부위 절단
(3) 협동적 관리
- 모든 환자들은 금연
- 소량 알코올 혈관확장
- 찬 곳에 노출되거나 발에 상처를 입지 않는 등 열적인 손상을 피한다.
- 교감신경절제술 : 혈관확장을 위해 시도
- 괴사, 심한 감염과 중독증이 나타날 때는 더 이상 수술을 연기하지 말아야 한다.
4) 레이노증후군
- 손의 동맥에 발작성 경련으로 혈류가 감소되어 일시적으로 손이 창백해진 후 청색증과 함께 피부 온도에 변화
(1) 원인
- 손가락이 추위에 과민한 상태, 세로토닌의 유리, 선천적으로 혈관 경련이 잘 오는 상태
- 젊은 여자 호발
(2) 증상과 징후
- 손가락이 창백해짐
- 증상이 대칭성
- 어떤 전신 질병도 없다.
- 손가락 끝의 피부에 제한됨
- 적어도 2년 동안 증상이 있었던 과거력
- 따뜻하게 하면 손가락은 정상이 되고 증상은 완전히 사라질 수 있으며 재발하더라도 경하게 나타남
(3) 협동적 관리
- 칼슘길항제 : 혈관수축의 빈도와 강도 감소
- 혈관확장제
- 증상이 심한 경우 : 교감신경 절제술
5) 동맥류 Aneurysm
- 동맥벽이 탄력성을 잃어 부분적으로 약해지거나 늘어나서 영구적으로 확장된 상태
- 복부 대동맥류가 동맥류 중 가장 흔한 형태
- 말초 동맥류의 70% 정도는 오금동맥
(1) 원인
- 선천적 혹은 후천적
- 후천적 원인 : 동맥경화증
- 선천적 원인 : 마르팡증후군(장기가 커짐, 판막질환), 엘러스-단로스 증후군(콜라겐감소, 탄성저하)
- 고혈압
(2) 병태생리
<동맥류 유형>
① 방추형 동맥류
② 낭상 동맥류
③ 박리성 동맥류
④ 가성동맥류
<동맥류 위치>
- 흔히 발생 부위 : 가슴, 복부
(3) 증상과 징후
- 작은 동맥류: 직경이 약 5cm 정도지만 큰 경우 20cm이나 그 이상
- 복부 대동맥류: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나 등 하부의 통증이 주증상
- 가슴 대동맥류 : 가장 흔한 증상은 흉통, 회귀후두신경까지 누르게 되면 기침이나 쉰소리
(4) 협동적 관리
<진단검사>
- CT, MRI, 가슴과 복부 X-선 검사와 동맥조영술
- 초음파 검사 : 정확한 진단 방법
<약물>
: 혈압하강제
<수술>
- 복부대동맥류가 5cm 이하시 추적검사
- 5cm 이상인 경우 수술 권장
- 동맥류 외과적 복구 : 동맥류 낭절개, 합성이식물 삽입, 합성이식물 위를 대동맥벽으로 봉합
▶ 수술 후 간호
- 다른 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와 같음
- 장폐색과 팽만감의 증상 확인
- 체위를 자주 변경
- 가슴동맥류의 수술 접근은 중앙 흉골절개를 시도하고 심폐기를 사용
- 가슴대동맥류 수술 후 환자는 특히 무기폐나 폐렴이 오는 확률이 높음
(5) 합병증
- 혈전증과 색전증
- 동맥류의 파열은 가장 위험한 합병증의 하나
- 후복강 내로 파열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복강 내로 파열하는 경우는 치명적
(6) 간호
- 이상적 체중 유지. 이완요법, 스트레스 감소
- 주기적으로 초음파, X선 촬영, 6~12개월마다 동맥류 크기 관찰
-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은 수술 후 6~12주 까지는 허용되지 않음
6) 대동맥박리 aortic dissection
- A형 박리 : 상행대동맥과 대동맥궁에 발생 (응급) 2/3은 상행대동맥에서 발생하고 급성
- B형 박리 : 하행대동맥에서 시작
(2) 병태생리
- 대동맥의 내막이 찢어지면서 두 층을 분리시킴
(3) 증상과 징후
- A형 대동맥박리 : 80%는 갑작스럽게 심한 전흉부 흉통 호소
- B형 대동맥 박리 : 등, 복부 또는 다리의 통증 호소
- 박리의 통증을 심근 경색증의 통증과 구별
(4) 협동적 관리
<진단검사>
- 흉부X선, CT, MRI, 경식도 초음파
<보존적 치료>
- 통증완화, 심작동수와 혈압조절,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수정
<수술>
- 급성 A형 상행 대동맥 박리는 응급수술을 요함, 증상 발생 후 48시간 이내의 사망률은 50%
- 만성 박리 대상자에게 외과적 수술
(5) 합병증
- 가장 심각한 합병증 : 심장압전
(6) 간호
- 혈압을 낮춤
- 마약성 제제, 진정제
- 심전도와 동맥압 모니터링
- 혈압의 목표수치 도달
- 항고혈압제 복용 필요성
- MRI나 CT를 주기적으로 검사
-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: 재박리, 동맥류 형성
'nurse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모성간호학 - 정상분만(분만정의, 정상분만의조건, 분만의 필수요소, 분만전구증상, 분만시작이론) (0) | 2023.07.09 |
---|---|
혈관계 간호 - 정맥질환(정맥염, 정맥혈전증,정맥류,정맥정체성궤양,폐색전증), 림프질환(림프부종,림프절염) (0) | 2023.07.09 |
혈관계 간호 - 고혈압 (1) | 2023.07.09 |
혈관계 간호 - 구조와 기능, 건강사정, 간호 (0) | 2023.07.08 |
근골격계 건강문제와 간호 - 절단간호, 목의통증, 발의장애(무지외반증, 족저근막염) (0) | 2023.07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