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ga(j' e ae); < mtegt'ao fcgh,a'rAs2e3t4=1"8U1T)F -/8c"i>t 혈관계 간호 - 동맥질환(말초동맥질환, 급성동맥허혈장애, 폐색성혈전혈관염, 레이노증후군, 동맥류, 대동맥박리)
nurse/study

혈관계 간호 - 동맥질환(말초동맥질환, 급성동맥허혈장애, 폐색성혈전혈관염, 레이노증후군, 동맥류, 대동맥박리)

미미로키 2023. 7. 9.
반응형

썸네일

5. 동맥질환

1) 말초동맥질환

(1) 원인

- 주요 원인 : 죽상경화증

- 죽상경화증의 원인은 정확히 모르나, 염증과 내피손상이 주된 요인, 콜레스테롤 침착

- 말초동맥질환의 주요 위험인자 : 흡연, 만성 신질환, 고지혈증, 고혈압, 당뇨

(2) 병태생리

-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결국 조직은 죽게 된다.  

(3) 증상과 징후

- 말초동맥질환의 전형적 증상 : 간헐성파행증

- 허혈성 통증은 혐기성 대사로 인한 젖산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됨

- 운동을 중단하면 젖산은 제거되고 통증은 가라앉음

- 말초동맥질환 대상자의 1/3 정도에서만 전형적인 간헐적인 파행증을 경험함, 나머지에서는 증상이 없거나 비전형적인 부위에 비전형적인 증상이 나타남.

<말초동맥질환과 정맥질환의 비교>

  말초동맥질환 정맥질환
말초맥박 감소 / 소실 존재, 부종으로 촉진이 어려울 수 있음
발목-상완지수 0.90이하 0.90초과
부종   하지부종
통증 간헐성 파행증
(다리 내려야 완화)
종아리나 허벅지 둔통
(다리 올려야 완화)
피부염   흔함
소양증   흔함

 

 

 

 

 

 

(4) 협동적 관리

<진단검사>

- 발목-상완지수 : 말초동맥질환의 선별검사도구

- 주의) 나이가 많은 환자와 당뇨병 환자인 경우 동맥이 석회화되고 압축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과 달리 발목-상완지수가 상승됨

<위험인자 교정>

- 치료 목적 :모든 대상자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를 감소시키는 것

-약물요법과 생활양식의 변화와 함께 수정

- 금연, 당뇨병조절, 지질관리:statin(항지질제), 엽산유도체

- 고혈압 관리 : 140/90 미만으로 유지

<투약>

- 항혈소판치료 : 아스피린

- 항응고제 (와파린)은 투여하지 않는다.

- 간헐적 파행증 치료 : 실로스타졸(cilostazol),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고 혈관확장 증가, 금기: 심부전 대상자

- 펜톡시필린 : 혈소판 부착과 섬유소원의 농축을 감소시키고 혈액의 점성을 저하시킴

<운동요법>

- 운동은 30~45분/일, 적어도 3회/주, 최소 3개월 동안 진행

<식이요법>

- 체질량 지수 <25kg/m, 허리둘레 유지

<허혈을 동반한 하지의 간호>

- 중증 사지허혈 대상자의 최적의 치료 : 자가정맥을 이용한 우회술을 통해 혈관 재형성

- 만약 이것이 가능하지 않다면 경피적 혈관 내 성형술(PTA)

- 피부궤양이 있는 중증 하지 허혈 대상자에게는 전신 항생제를 사용

<카테터를 이용한 중재적 방사선 치료>

- 스텐트는 풍선혈관성형술에 삽입

<수술요법>

- 말초동맥 우회술(bypass) : 스텐트를 사용한 풍선혈관성형술은 우회술과 함께 사용

- 절단은 조직 괴사가 광범위할 경우 적용

▶ 수술 후 간호

- 너무 완전히 펴면 오금동맥의 수축으로 혈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무릎을 약간 굽힌 자연스러운 자세가 좋다.

- 이식술의 폐쇄는 수술 후 처음 24시간 이내에 흔하다.

- 통증 사정은 이식술이 잘못된 것을 조기에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.

- 구획증후군

: 근육은 근막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의 부종은 과다한 압력을 받게 되고,

그 결과 근육이 손상되고 영구적인 신경손상을 가져올 수 있음. 근막절개술은 완화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음

- 중대한 합병증

: 감염, 패혈증이 생길 가능성이 있을 때는 절단만이 유일한 치료방법

(5) 간호

① 적절한 조직 관류

② 통증 완화

③ 운동내성의 증가

④ 손상되지 않은, 말초의 건강한 피부

⑤ 치료계획과 질병에 대한 지식 증가

<간호수행>

▶ 급성기 중재

- 수술을 받은 하지의 색깔, 체온, 모세혈관 재충만, 말초맥박의 존재, 사지의 움직임과 감각을 매 15분마다 확인

- 수술 후 ABI측정은 이식 혈전증의 위험이 있으므로 측정하지 않는다.

- 수술 후 위협적인 통증에 대한 관리 필요

- 오랜 시간 앉아 있는 것은 다리의 통증과 부종을 야기하므로 피한다.

- 탄력스타킹 - 합병증이 없으면 수술한 지 3~5일 후에 퇴원

▶ 외래 간호

- 금연, 고혈압, 당뇨병 관리

- 두꺼워진 발톱이나 굳은살은 잠재적인 심각한 문제를 야기함

 

 

 

 

 

2) 급성 동맥허혈장애

- 치료하지 않으면 조직의 괴사를 일으킴

(1) 원인

- 혈관의 외상, 혈전, 색전

(2) 병태생리

: 막힘

(3) 증상과 징후(6P)

① 통증

② 감각 이상

③ 냉감 : 차갑다

④ 마비

⑤ 창백

⑥ 맥박소실

(4) 협동적 관리

- 혈전이나 색전을 제거

- 섬유소 용해제

3) 폐색성 혈전혈관염 = 버거병

(1) 원인

- 상지나 하지의 동맥이나 정맥에 어떤 원인으로 혈전이 형성되고 비화농성인 동맥염과 정맥염을 형성하여 혈관을 폐색 시킴

- 신경의 말단부가 자극받아 심한 통증

- 정확한 원인은 모르지만 흡연과 밀접한 관계

(2) 증상과 징후

- 간헐성파행증

- 안정 시 통증

- 감각 이상

- 허혈성 신경증

- 레이노 현상

- 괴사 되므로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심한 경우 괴사부위 절단

(3) 협동적 관리

- 모든 환자들은 금연

- 소량 알코올 혈관확장

- 찬 곳에 노출되거나 발에 상처를 입지 않는 등 열적인 손상을 피한다.

- 교감신경절제술 : 혈관확장을 위해 시도

- 괴사, 심한 감염과 중독증이 나타날 때는 더 이상 수술을 연기하지 말아야 한다.

4) 레이노증후군

- 손의 동맥에 발작성 경련으로 혈류가 감소되어 일시적으로 손이 창백해진 후 청색증과 함께 피부 온도에 변화

(1) 원인

- 손가락이 추위에 과민한 상태, 세로토닌의 유리, 선천적으로 혈관 경련이 잘 오는 상태

- 젊은 여자 호발

(2) 증상과 징후

- 손가락이 창백해짐

- 증상이 대칭성

- 어떤 전신 질병도 없다.

- 손가락 끝의 피부에 제한됨

- 적어도 2년 동안 증상이 있었던 과거력

- 따뜻하게 하면 손가락은 정상이 되고 증상은 완전히 사라질 수 있으며 재발하더라도 경하게 나타남

(3) 협동적 관리

- 칼슘길항제 : 혈관수축의 빈도와 강도 감소

- 혈관확장제

- 증상이 심한 경우 : 교감신경 절제술

5) 동맥류 Aneurysm

- 동맥벽이 탄력성을 잃어 부분적으로 약해지거나 늘어나서 영구적으로 확장된 상태

- 복부 대동맥류가 동맥류 중 가장 흔한 형태

- 말초 동맥류의 70% 정도는 오금동맥

(1) 원인

- 선천적 혹은 후천적

- 후천적 원인 : 동맥경화증

- 선천적 원인 : 마르팡증후군(장기가 커짐, 판막질환), 엘러스-단로스 증후군(콜라겐감소, 탄성저하)

- 고혈압

(2) 병태생리

<동맥류 유형>

① 방추형 동맥류

② 낭상 동맥류

③ 박리성 동맥류

④ 가성동맥류

<동맥류 위치>

- 흔히 발생 부위 : 가슴, 복부

(3) 증상과 징후

- 작은 동맥류: 직경이 약 5cm 정도지만 큰 경우 20cm이나 그 이상

- 복부 대동맥류: 증상이 없을 수도 있으나 등 하부의 통증이 주증상

- 가슴 대동맥류 : 가장 흔한 증상은 흉통, 회귀후두신경까지 누르게 되면 기침이나 쉰소리

(4) 협동적 관리

<진단검사>

- CT, MRI, 가슴과 복부 X-선 검사와 동맥조영술

- 초음파 검사 : 정확한 진단 방법

<약물>

: 혈압하강제

<수술>

- 복부대동맥류가 5cm 이하시 추적검사

- 5cm 이상인 경우 수술 권장

- 동맥류 외과적 복구 : 동맥류 낭절개, 합성이식물 삽입, 합성이식물 위를 대동맥벽으로 봉합

▶ 수술 후 간호

- 다른 복부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간호와 같음

- 장폐색과 팽만감의 증상 확인

- 체위를 자주 변경

- 가슴동맥류의 수술 접근은 중앙 흉골절개를 시도하고 심폐기를 사용

- 가슴대동맥류 수술 후 환자는 특히 무기폐나 폐렴이 오는 확률이 높음

(5) 합병증

- 혈전증과 색전증

- 동맥류의 파열은 가장 위험한 합병증의 하나

- 후복강 내로 파열되는 경우가 가장 흔하며 복강 내로 파열하는 경우는 치명적

(6) 간호

- 이상적 체중 유지. 이완요법, 스트레스 감소

- 주기적으로 초음파, X선 촬영, 6~12개월마다 동맥류 크기 관찰

-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은 수술 후 6~12주 까지는 허용되지 않음

 

6) 대동맥박리 aortic dissection

- A형 박리 : 상행대동맥과 대동맥궁에 발생 (응급) 2/3은 상행대동맥에서 발생하고 급성

- B형 박리 : 하행대동맥에서 시작

(2) 병태생리

- 대동맥의 내막이 찢어지면서 두 층을 분리시킴

(3) 증상과 징후

- A형 대동맥박리 : 80%는 갑작스럽게 심한 전흉부 흉통 호소

- B형 대동맥 박리 : 등, 복부 또는 다리의 통증 호소

- 박리의 통증을 심근 경색증의 통증과 구별

(4) 협동적 관리

<진단검사>

- 흉부X선, CT, MRI, 경식도 초음파

<보존적 치료>

- 통증완화, 심작동수와 혈압조절,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수정

<수술>

- 급성 A형 상행 대동맥 박리는 응급수술을 요함, 증상 발생 후 48시간 이내의 사망률은 50%

- 만성 박리 대상자에게 외과적 수술

(5) 합병증

- 가장 심각한 합병증 : 심장압전

(6) 간호

- 혈압을 낮춤

- 마약성 제제, 진정제

- 심전도와 동맥압 모니터링

- 혈압의 목표수치 도달

- 항고혈압제 복용 필요성

- MRI나 CT를 주기적으로 검사

- 사망의 가장 흔한 원인 : 재박리, 동맥류 형성

반응형

댓글

💲 추천 글

TOP

방문하시는 모든 분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