Ⅳ. 혈압
● 혈압 : 심장에서 압력에 의해 방출된 혈액이 동맥벽에 미치는 힘
● 전신 혹은 동맥혈압 등은 심혈관계의 건강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임
● 수축기혈압이 혈액 방출 시 압력 가장 높음
● 최소혈압(이완기혈압) : 심실 이완되고 혈액이 동맥에 남아있을 때, 동맥벽에 미치는 최소혈압
● 맥압(pulse pressure) :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의 차이
1. 혈압 조절
1) 혈압의 생리
● 혈압은 심박출량, 말초혈관 저항, 혈액량, 혈액 점도와 동맥 탄력성 간의 상관성 반영함
(1) 심박출량(cardiac output)
● 혈압은 심박출량에 영향 받음
● 심박출량 증가 -> 더 많은 혈액이 동맥벽으로 방출 -> 혈압 증가
● 맥박수&심근수축력&혈액량의 증가 -> 심박출량의 증가
- 맥박수 변화가 심근수축력&혈액량보다 더 빠르게 반응
- 맥박수 빠른 증가는 심장 충만 시간 감소 -> 혈압 저하
(2) 말초혈관의 저항(peripheral resistance)
● 혈액은 동맥, 세동맥, 말초동맥, 세정맥, 정맥망을 통해 순환
● 동맥&세동맥은 평활근(구경 수축&이완)으로 둘러싸임
+국소조직 요구 따라 굵기 변함
● 혈압은 말초혈관의 저항에 영향받음
- 말초혈관 저항 증가 -> 이완기 혈압의 증가
● 말초혈관 저항 = 혈관근육 힘&구경에 의한 혈액 흐름의 저항
- 혈관 좁아지면 말초혈관이 혈류저항받음
- 저항 커지면 동맥 혈압 증가
- 혈관 확장&저항 떨어지면 혈압 저하
(3) 혈액량(blood volume)
● 혈관 내 순환하는 혈액량은 혈압에 영향
● 대부분의 성인은 5000ml
● 혈액량 증가 -> 동맥벽에 증가된 압력
- 빠르고 조절되지 않는 정맥수액 주입 시 혈압 증가
- 순환 혈액량 감소(출혈, 탈수) 시 혈압 저하
ex) 심근경색으로 심장수축력 저하
(4) 점도(viscosity)
● 점도 : 작은 혈관에 흐르는 혈액 흐름 영향
● 헤마토크릿
- 혈액이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혈액 점도 결정
- 헤마토크릿 증가 -> 점도 증가 -> 혈류속도 감소 & 동맥혈압 증가 -> 심장수축력 증가의 필요성
● Hct = RBC/혈액전체부피 X 100
● 거짓상승 : RBC의 증가가 아닌 혈액 전체 부피 감소
(ex. 탈수 시)
(5) 탄력성
● 동맥벽은 탄력 있고 쉽게 확장
● 동맥 확장성은 혈압의 지나친 요동 예방
● 혈관벽 탄력성 감소 -> 혈류저항 증가
- 좌측심실 심박출량 방출 시 혈관이 더 이상 이에 대응 불가
- 박출된 혈액량은 탄력 없는 동맥벽으로 밀려 나가 수축기 혈압 증가
2.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
● 혈압은 항상 동일하지 않음
● 한번 측정으로 평소 혈압 알 수 없음
● 지속적 측정 통한 혈압 전반적 추이 필요함
3. 혈압 측정
● 동맥혈압은 직접, 간접적으로 측정
● 직접 측정 : 가느다란 관 동맥 혈관에 삽입
- 동맥혈관의 갑작스러운 출혈 위험성 때문에 중환자실에서만 사용
● 간접 측정
- 혈압계&청진기 필요
- 청진 혹은 촉진과 병행하는 청진은 가장 흔히 사용
1) 측정기구
(1) 혈압계
● 혈압 측정 전 혈압계와 청진기 편안 사용 가능 해야 함
● 혈압계는 아네로이드와 수은 두 가지 형태
● 아네로이드
- 안전, 무게 가벼움, 이동가능, 부피 작음
- 유리로 덮인 둥근 눈금표시기와 밀리미터 눈금 가리키는 바늘
- 사용 전 압력계 바늘이 0 가리키는지 확인
- 6개월마다 눈금 정확성 검증 필요
● 수은혈압계
- 수은이 관을 따라 올라오면 수은 상부 끝이 볼록하게 올라감
- 요철(meniscus) : 올라온 표면 꼭대기
- 눈금이 새겨진 관주 내에 볼록 올라온 면의 수치를 읽어야 함
- 시차(parallax) : 읽는 각도에 따라 다르게 읽히는 것
- 볼록면이 눈 위치보다 높으면 실제보다 높게 읽힘
- 반대로 낮으면 실제보다 낮게 읽힘
● 압력은 커프 압력을 팽창시켜 그 힘으로 수은 기둥을 위로 밀어 올려 수은 기둥의 밀리미터 눈금을 가리킴
● 커프 너비는 팔이나 대퇴길이의 약 2/3가 덮이는 커프 사용해야 정확 혈압 측정 가능
● 커프 너비는 팔 혹은 다리 중앙 지점에서 측정한 둘레의 40% 정도, 혹은 지름보다 20% 넓은 것이 이상적
● 커프로 둘러싸인 고무주머니 길이
- 성인 : 충분히 감을 수 있게 측정하는 부위 둘레의 80%를 덮을 수 있어야 함
- 어린이 : 측정부위 전체 덮을 수 있어야 함
● 상완부위 위에 커프 아래 밑단이 오도록 하고, 청진기 놓을 공간 있어야 함
(2) 청진기
(3) 초음파 청진기(ultrasonic stethoscope)
● 맥박이 너무 약해 청진음 들을 수 없을 때
● 주파수가 낮은 수축기 혈압 소리 들음
● 아동, 어린이, 혈압 낮은 성인 혈압 측정 시 주로 사용
(4) 촉진(palpation)
● korotkoff 음 생성하기에 너무 맥박이 약한 아동들에게 사용
● 촉지에 의해 수축기 혈압 측정
● 이완기 혈압은 촉지에 의한 결정 곤란함
● 수축압 수치와 함께 측정방법 기록 (ex. RA 90/-, palpated, supine)
● 촉진 기술은 청진 시와 동일
● 고혈압 있는 대상자는 상완동맥에서 청진
● 청진상 간격(ausculatory gap)
- 청진음이 일시적으로 들리지 않을 때
- Korotkoff 음 첫 번째와 두 번째 사이 발생
- 약 40mmHg 범위 가짐 -> 수축기 혈압이 너무 낮게 읽히거나 이완기 혈압이 너무 높게 읽히는 오류
- 청진상 간격 이전 수축기 혈압을 충분히 들을 수 있게 커프 압력을 더 높게 팽창시키는 것을 확실히 해야 함
- 요골맥박 촉지로 커프 팽창 수준 높이 결정
- 요골맥박 마지막 촉지 지점보다 30mmHg 더 높게 커프 팽창시킴 (커프압력 올리면서, 내리면서 두 번 확인)
- 청진상 간격 혈압 범위 기록 ( ex. BP RA 180/94mmHg with an auscul -atory gap from 180 to 160 mmHg, sitting)
(5) 전자혈압계
● 자동혈압 측정 가능
● 동맥 통해 혈액이 밀려갈 때 발생하는 진동 탐지하는 전자감지기에 의함
● 중환자, 잠정적 불안정 환자, 침습적 처치 중&처치 후, 자주 측정 요구되는 치료 시 주로 사용 (자주 측정 필요시)
● 사용 용이, 반복 측정&자주 측정 시 효율적 , 청진기 필요 X
● 혈압이 낮으면 소리와 진동 전달 불가
● 잠깐이라도 대상자와 대화 피해야 함 (측정오류 10~40% 증가)
2) 측정방법
(1) 측정 지침
● 대부분 앙와위, 좌위, 직립 위에서 혈압은 모두 동일
● 체위는 측정수치 비교 위해 측정 시마다 동일 체위 취할 필요성
● 통증, 불안, 운동 등의 영향요인 조절(너무 높게 측정될 가능성)
● 첫 혈압 측정 시 양측 팔 혈압 측정
● 정상적으로 양측 팔은 5~10mmHg 정도 차이
● 연속적 혈압측정 시 혈압 높은 팔에서 측정
● 양측 팔 혈압 20mmHg 이상 차이 있을 경우 혈관질환
● 간접 혈압측정은 압박 일으킬 가능성
● 커프 팽창은 동맥혈이 자유롭게 흐르지 못하고, 동맥허탈이 발생하는 원인이 됨
- 첫 Kortkoff 음 : 맥박수와 동일하게 분명하고 리듬 있게 뛰고 점점 소리가 커진다. 이때 소리 시작점이 수축기 혈압임
- 두 번째 Kortkoff 음 : 커프 팽창이 감소되는 동안 바람이 스치는 소리
- 세 번째 Kortkoff 음 : 동맥이 계속 확장되면서 혈액이 요동 침. 더 강하게 두드리는 소리
- 네 번째 Kortkoff 음 : 커프 압력이 더 빠지면서 약하고 낮게 들리는 소리. 커프 압력이 혈관벽 압력보다 더 떨어져서 발생, 영아, 아동, 임신부, 심박출량이 증가된 환자, 말초혈관 이완된 환자들에게서 들을 수 있고 이완기 혈압이라고 함
- 다섯 번째 Kortkoff 음 : 소리의 소실 청소년기 이후로는 이 소리가 이완기 혈압과 일치함.
● 고혈압 대상자 경우 네 번째 소리 날 때 혈압계 가리키는 지점 기록하도록 권장
● 혈압 측정했던 팔, 체위 기록
(ex. right arm(RA) 130/70 좌위)
(2) 하지 혈압(lower extremity blood pressure) 측정
● 상지 혈압측정 불가능할 때
- 상지 드레싱, 석고붕대, 정맥 내 카테터 삽입, 동정맥루, 션트 설치
● 청진 위치 : 슬와동맥
● 체위 : 복위가 가장 좋음
- 복위 불가능 시 무릎을 약간 구부림
● 커프
- 대퇴 뒷부분 중간에 고무주머니 놓이도록 함
- 커프 끝단 슬와동맥 2.5cm 위
- 상지혈압 보다 수축압 보통 10~40 mmHg차이, 이완기 혈압 동일
4. 비정상적 혈압
1) 고혈압(hypertension)
● 가장 흔한 혈압의 변화
● 증상이 없음
● 성인의 고혈압 전단계
- 두세 번 측정한 이완기혈압 평균 80~89 mmHg, 수축기혈압 평균 120~139mmHg
● 이완기혈압 90mmHg 이상, 수축기혈압 140mmHg 이상일 때 고혈압 규정
● 첫 측정 혈압 높아서 고혈압 진단하지 않음
- 2달 이내 다른 요인 검진 격려
● 동맥벽 두꺼워짐, 탄력성 소실과 관련
- 말초혈관 저항 증가
- 심장, 뇌, 신장 등 중요기관 혈류 감소
● 고혈압 가족력 존재 대상자 위험
● 뇌졸중 사망 주요 요인, 심근경생 기여요인
2) 저혈압(hypotension)
● 수축기 혈압 90mmHg 이하로 떨어지는 것
● 어떤 성인은 정상적 저혈압 but 대부분 저혈압환자들은 질환 관련 비정상 소견
● 동맥확장, 혈액량 손실, 적절 혈액 방출 불가 심근장애(ex. 심근경색) 등이 원인
● 창백, 피부 얼룩반점, 냉기, 의식혼돈, 심박률 증가, 소변배출량 감소 등이 저혈압 신호
● 기립성 저혈압(Orthostatic hypotension)
- 체위성 저혈압(Postural Hypotension)이라 하기도 함
- 정상혈압 가진 사람이 일어설 때 혈압이 낮아지는 것
- 혈압약 먹는 사람들 많이 발생
- 혈액량 적은 사람은 혈관이 이미 수축
- 일어날 때 심박출량 부족 보상 위해 현저히 심박수 증가하며 혈압 낮아짐
- 탈수, 빈혈, 장기 침상안정 및 최근 출혈한자 등은 기립성 저혈압 위험
- 기립성 혈압측정 간호보조인력 위임 불가
- 측정 순서 : 앙와위 -> 좌위 -> 직립위
- 대부분 기립성 저혈압은 일어선 후 1분 내에 증상 나타남
- 실신, 허약감, 어지러움증 등도 사정
- 기록 시에는 체위와 측정혈압 기록 (ex. 앙와위 140/80mmHg, 좌위 132/72mmHg, 직립위 108/60mmHg)
댓글